드디어 마지막으로 10번째 음식입니다. 그것은 바로 달걀입니다. 달걀은 비타민 A와 비타민 D를 공급해주는 음식입니다. 그리고 루테인과 지아잔틴도 들어있지요. 노른자에 말입니다. 달걀은 눈을 건강하게 해주는 음식이라는 사실! 그런데요, 행복한 환경에서 풀 먹으면서 자란 닭이 낳는 달걀에는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이 더 높아진다고 합니다. 자, 10가지 다시 정리해볼까요? 1. 고등어, 꽁치, 삼치 같은 등푸른 생선 2. 들깨, 그리고 그걸 짠 들기름 3. 미역, 파래 같은 해조류 4. 당근, 늙은 호박, 토마토 같은 주황색 채소 5. 브로콜리 6. 시금치 7. 깻잎 8. 베리류의 과일 9. 구기자 10. 달걀
조회수 11,170
넷째, 당근, 늙은 호박, 토마토 얘네들 셋을 묶었어요. 식물학적으로 종이 다르고, 생긴 것도 전혀 다른 채소인데요? 비슷한 게 한 가지 있죠? 네, 색깔입니다. 주황색~붉은색. 베타카로틴, 루테인, 라이코펜이라는 색소가 만드는 색입니다. 이 색소들은 눈의 점막층을 튼튼하게 만들고 염증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당근, 베타카로틴의 대명사죠. 다섯째, 브로콜리 여섯째, 시금치 이런 녹색 채소에도 베타카로틴이 풍부합니다. 아까 말했죠, 베타카로틴은 우리 몸 속에 들어가면 비타민 A로 변해서 눈에 좋은 기능을 한다고. 그리고 루테인도 풍부합니다. 루테인은 먹는 선글라스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눈에 해로운 자외선과 블루라이트로부터 눈을 보호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서양사람들은요, 녹색채소 중에서 베타카로틴이 가장 많이 들어 있는 것이 시금치라고 하면서 시금치를 격찬합니다. 그러나 그들이 모르는…
조회수 10,861
첫째, 고등어, 꽁치, 삼치 같은 등푸른 생선 여기엔 EPA, DHA 같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합니다. 비타민A와 D도 이런 생선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둘째, 들깨, 그리고 그걸 짠 들기름 여기엔 ALA, 즉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가 들어 있어요. 이것도 오메가3 지방산의 한 종류입니다. 셋째, 미역, 파래 같은 해조류 놀랍게도 조류(藻類, algae)에는 DHA 형태로 오메가3 지방산이 들어있습니다. 날아다니는 새, 그 鳥類가 아니고요, 물에서 사는 藻類 말입니다. 자, 요 세 가지 짚어봅니다. 들깨, 호두, 아마씨 같은 식물에 들어있는 오메가3는 ALA, 즉 알파리놀렌산입니다. 이게 우리 몸 속에 들어오면 EPA와 DHA로 변해야 제대로 쓰이는데요, 들어온 것이 다 그렇게 바뀌지를 못해요. 한 5%, 10% 정도 밖에 안 바뀌어요….
조회수 13,588
눈 건조하고 피로감 느낄 때 섭취하면 좋은 영양소 3가지 알려드릴게요. 첫째, 오메가3 지방산 오메가3는 눈의 염증을 억제하고, 눈물로 기름성분이 잘 나오게 해줍니다. 그 기름이 엉기지 않고 맑아지도록 해주는 거죠. 눈물막 표면에 기름층이 잘 코팅되어야 눈물이 증발하지 않습니다. 오메가3는 바로 그걸 도와줍니다. 안구건조증의 70-80%가 증발성 안구건조증이거든요. 둘째,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A 비타민 중에서 눈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이 바로 비타민 A입니다. 비타민 A가 결핍되면 야맹증, 즉 밤눈이 어두어진다는 건 잘 알려져 있죠. 뿐만 아니라 비타민 A가 결핍되면 눈의 각막과 점액층이 건조해질 수 있대요. 그래서 안구건조증 증상이 생길 수 있죠. 베타카로틴이란 뭐냐, 녹황색 채소에 있는 색소인데요, 이게 우리 몸 속에 들어오면 비타민 A로 변합니다….
조회수 14,278
딱히 뭐 먹을 거 없을 때좀 든든히 영양가 있게 먹고 싶을 때저희집 단골 반찬입니다.식구들이 막 덤빌 겁니다.
조회수 24,321
현미밥, 영양면에서 장점이 많습니다. 그러나 현미밥이 부적절한 분들이 있습니다. 첫째, 밥 먹을 시간이 충분치 않은 분들 시간에 쫓겨서 5분만에 후딱 밥을 먹어야 하는데 건강에 좋다면서 현미밥을 먹으면 자칫 소화불량에 가스 차고 힘들 수 있어요. 특히 아침에 밥 먹고 출근할 때.. 어느 세월 현미를 꼭꼭 씹어 먹겠습니까. 충분히 오래 씹을 수 없다면 현미를 포기하는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둘째, 소화력이 약한 분들 입에서 침도 잘 안 나오고 위장에서는 위산, 펩신도 적게 나오고 췌장에서 소화액도 덜 분비되는 분들 이런 분들은 아무래도 현미가 부담될 수 있어요. 큰 병 앓고나서 허약해졌을 때 그럴 땐 오히려 소화 잘 되는 죽을 먹지요. 노인들은요, 위산이 과다한 경우보다는 위장…
조회수 17,497
이 좋은 율무가 혹시 생소하신가요?율무를 먹는 가장 좋은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조회수 27,577
남자가 율무를 먹으면 정력이 떨어진다는 말이 있어요. 정말 그럴까요? 율무차의 비밀을 알려드릴게요. 깜짝 놀라실 거에요.
조회수 23,056
콩, 참 좋은 건데 잘 먹어야 탈이 없답니다. 콩을 먹는 가장 좋은 방법 알려드릴게요.
조회수 16,491
아시아 여성들은 서양 여성들보다 갱년기 증상을 덜 겪는다고 합니다. 그 이유로 생각되는 음식이 있어요.
조회수 15,328
(지난 번 글에 이어집니다.) 콩이 안면홍조 증상을 개선하는 이유 콩에는 여성호르몬과 비슷한 물질이 들어있습니다. 이름하여 이소플라본. 이소플라본은 특정한 성분명이 아니고요, 대표적으로 – 제니스테인 – 다이드제인 – 글리시테인 과 같은 몇몇 성분을 총칭해서 부르는 겁니다. 사람의 여성호르몬은 난소에 있던 알, 즉 난자를 둘러싼 세포층에서 만들어집니다. 근데 이 콩도, 식물 입장에서 볼 때는 알이죠. 종자. 모든 종자에는 호르몬 비슷한 물질이 들어있어요. 그래서 굳이 그걸 식물성 여성호르몬이라고 합니다. 참깨에도 리그난이라고 하는 게 들어있는데, 이것도 여성호르몬 비슷한 거죠. 비슷한 것에는 비슷한 것이 들어있고, 비슷한 것을 돕습니다. 콩의 이소플라본 성분이 뱃속으로 들어와서는 여성호르몬과 더 비슷하게 생긴 이쿠올(equol)이라는 물질로 또 변해요. 그럼 이게 말이죠, 시상하부를 살짝…
조회수 11,940
이 영상을 통해 알고 나면 이제 낙지를 먹을 때 다시는 전과 같지 않을 겁니다. 더 좋아하게 될지도..
조회수 25,639
낙지머리 먹어도 될까? 낙지를 먹는 방식이 영상을 보기 전과 후가 달라질 겁니다.
조회수 14,295
냉이가 참 기특합니다. 냉이 된장찌개는 우리의 기쁨이구요. 그러나 냉이를 조심해야 하는 사람은?
조회수 13,047
이 채소가 이런 효능을 갖고 있었는지? 아마 알고 있는 분들이 많지 않을 겁니다. 냉이 예전부터 한의학 문헌에는 냉이를 각종 출혈 증상에 써왔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냉이는 지혈작용이 있답니다. 자, 그럼 어떤 때 쓸수 있을까요? 코피가 멎지 않을 때 코피가 잘 멎지 않을 때 냉이를 쓸 수도 있어요. 과도한 생리 출혈 여성들 자궁 증상 중에 붕루라는 증상이 있어요. 생리양이 너무 많아서 힘든 증상이지요. 다낭성난소 때문에 자궁내막이 두꺼워지다가 한꺼번에 출혈이 생기는 기능성 자궁출혈 자궁근종이나 자궁선근증이 있는 경우 생리양이 너무 많아서 그 출혈 때문에 빈혈까지 유발되는데요, 이럴 때 냉이를 드셔보세요. 그러면 출혈이 빨리 멈춥니다. 냉이탕 얼마나 먹냐, 하루에 50g 내지 100g 정도를 물에 끓여서…
조회수 26,867
출산 후에 출혈이 멎지 않으면 곤란합니다. 이완성 자궁출혈 출산 후에 자궁이 수축하지 않으면 엄청난 하혈을 하면서 산모가 위험에 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이완성 자궁출혈이라고 하는데요, 자칫 산모가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매우 위중한 상황입니다. 이럴 때는 옥시토신이라는 자궁수축제를 써서 출혈을 멎게 해야 하는데요, 놀랍게도요, 이란의 학자들이 산후 이완성 자궁출혈에 냉이 추출물을 사용한 임상연구가 있었습니다. 이완성 자궁출혈이 생긴 산모에게 옥시토신을 링거 주사로 주면서 동시에 냉이 추출물을 먹여봤습니다. 그랬더니 그냥 옥시토신만 단독으로 맞힌 산모보다 냉이를 함께 준 산모가 훨씬 더 빨리 회복되더랍니다. 놀랍죠. 냉이는 여성의 자궁을 수축시키면서 동시에 출혈을 멎게 해주는 효능까지 같이 가지고 있는 겁니다. 출산후 오로가 오랫동안 지속될 때도…
조회수 20,780